[JPA] Casecade 옵션

멤버(Member)와 사물함(Locker) 1:1 매핑 상황을 살펴보고, cascade 옵션이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알아보자.

예제코드

0.1. Member, Locker 엔티티

@Data
@Table(name = "MEMBER")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name;

    @Column(name = "AGE")
    private Integer age;

    @OneToOne
    @JoinColumn(name = "LOCKER_ID")
    private Locker locker;

}
@Data
@Entity
@Table
public class Lock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name;
}

Member -> Locker 단방향 1:1 매핑에 대해서 살펴보자.

중요한 것은, @OneToOne@JoinColumn을 사용해서 관계 매핑을 했고, 참조하는(방향성을 가지는) Locker를 해당 멤버 필드의 Type으로 지정했다. 명시적으로 @JoinColumnname 프로퍼티를 참조하는 LOCKER_ID로 설정했다.

0.2. 테스트 케이스

    @Test
    public void 단방향테스트_Memmber_Locker_SaveTest()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andrew");
        member.setAge(32);


        Locker locker = new Locker();
        locker.setName("1번 사물함");

        member.setLocker(lock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lockerRepository.save(locker);

        //when
        Member exist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getId()).get();

        //then
        assertEquals(existMember.getLocker().getName(), "1번 사물함");

    }

Member, Locker 객체를 만들고 저장 한후에, member.getLocker().getName() 으로 객체를 탐색하는 테스트 케이스.
이 테스트 케이스는 실패 한다.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 com.example.demo.spring.jpa.member.Member.locker -> com.example.demo.spring.jpa.locker.Locker;

다음과 같은 exception이 발생한다. flusing 하기 전에 transient 인스턴스를 save하라!

테스트 코드를 다시 살펴보면, locker 객체를 저장하기 전에, 객체 생성만 하고, member의 setLocker의 인자로 넘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locker가 save()를 통해서 db에 저장 되기도 전에, memberRepository.save()를 호출 하니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자세히 완벽히 이해 못함)

DB에 플러쉬 되는 시점

  • @Transational 메소드가 종료 되는 시점
  • 강제로 PersistContext를 통해서 persist()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2가지 방법이 있다.

0.3. 해결방법 1. 프로그래밍적으로

논리적 흐름이 맞지 않기 때문에, locker를 먼저 저장하고, member를 저장하도록 로직을 수정하면 테스트 케이스가 성공한다.

    ...
    lockerRepository.save(lock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하지만 매번 로직을 작성할 때마다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그리 쉬운 방법은 아니다.
나중에 양방향 관계에서는 편의 메소드 라는 것을 통해서 실수 할 수 있는 부분을 줄여 주기는 한다.

0.4. 해결방법 2. cascade 옵션을 주는 것

@OneToOnecascade = CascadeType.ALL 옵션을 줌으로써 해결 할 수 있다.
이 casecade는 전파되는 속성을 나타낸다. 즉, member가 save()를 할 때, 연관관계에 있는 locker도 저장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처음 테스트 케이스는 그대로 두고, Member 엔티티에서 해당 옵션만을 주면 테스트는 성공한다.

    ...
    @OneToOne(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 = "LOCKER_ID")
    private Locker locker;

0.5. 🤔 여기서 갑자기 궁금해진 점

그럼 casecade옵션으로 연관 엔티티도 저장된다고 했는데, 테스트 케이스에서 locker의 객체를 저장하는 lockerRepository.save(locker); 을 주석 처리하고 테스트 케이스를 돌리면 어떻게 될까요?

Hibernate:
    insert
    into
        locker
        (name, locker_id)
    values
        (?, ?)
Hibernate:
    insert
    into
        member
        (age, locker_id, name, member_id)
    values
        (?, ?, ?, ?)

놀랍게도(?), 당연하게도 결과는 성공한다. locker insert 쿼리문과 member insert 쿼리문 동시에 두개가 날라감

정리: casecade 옵션을 활용하면, 등록, 삭제 시에 불필요한 save() 메소드를 하지 않아도 참조하는 쪽의 하나의 엔티티만 저장/삭제 해도 같이 반영된다. (특히, 연관관계의 DB 데이터를 지울 때, 데이터베이스의 정합성을 고려하면 좋음)

1. 이번엔 양방향 관계로 설정!!

위에는 단방향 관계 였으니, 이번에는 양방향 관계 설정을 마무리 해보자 💪

@Data
@Table(name = "MEMBER")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AUTO)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name;

    @Column(name = "AGE")
    private Integer age;

    @OneToOne(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 = "LOCKER_ID")
    private Locker locker;

}

Member 엔티티는 변함이 없음

@Data
@Entity
@Table
public class Lock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LOCKER_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name;

    // 이 부분이 추가됨
    @OneToOne(mappedBy = "locker")
    private Member member;
}

Locker 엔티티에서는 역시 1:1 연관관계 어노테이션인 @OneToOne을 선언해줌.

중요한 것은 외래키의 관리가 남아 있어서
mappedBy 속성을 통해서 마무리 지었다.

이번에 테스트 케이스는 양방향 관계가 잘 매핑되었는지를 확인한다.

  • member -> getLocker()
  • locker -> getMember()
    @Test
    public void 양방향관계_테스트()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andrew");
        member.setAge(32);

        Locker locker = new Locker();
        locker.setName("1번 사물함");
        member.setLocker(lock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when
        Member exsit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getId()).get();
        Locker existLocker = lockerRepository.findById(locker.getId()).get();

        //then
        assertEquals(exsitMember.getLocker().getName(), "1번 사물함");
        assertEquals(existLocker.getMember().getName(), "andrew");

    }

테스트 성공!

📚 Related Posts

Newer post

[Spring] Spring Data Common 프로젝트 살펴보기

[JPA] Casecade 옵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