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Repository의 구현체 SimpleJpaRepository에서 save()메서드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자.
SimpleJpaRepository
의 save() 메서드
@Transactional
public <S extends T> S save(S entity) {
if (this.entityInformation.isNew(entity)) {
this.em.persist(entity);
return entity;
} else {
return this.em.merge(entity);
}
}
entityInformation에서 새로운 entity이면 persist()
를 그게 아니면 merge()
를 호출한다.
merge는 한번 persist 상태였다가 detached 된 상태에서 그 다음 persist 상태가 될 때, merge 한다고 한다.
테스트
실제 Post 엔티티를 만들고, 테스트를 해보자
@Data
@Entity
public class Post{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OneToMany
private List<Comment> comments = new ArrayList<>();
public Post publish() {
this.registerEvent(new Event(this));
return this;
}
// PostRepository
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 Long> {
}
@Test
public void saveAndMergeTest() {
// 1
Post post = new Post();
post.setTitle("jpa");
Post savedPost = postRepository.save(post); // persist
// 2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post)).isTrue();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savedPost)).isTrue();
assertThat(post == savedPost);
// 3
Post post2 = new Post();
post2.setId(post.getId());
post2.setTitle("hibernate");
Post updatedPost = postRepository.save(post2);// merge
// 4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post2)).isFalse();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updatedPost)).isTrue();
assertThat(post2 == updatedPost);
postRepository.findAll();
}
// 1
Post post = new Post();
post.setTitle("jpa");
Post savedPost = postRepository.save(post); // persist
처음에 post 객체를 만들고 save()를 하게 되면 내부적으로 persist()를 호출한다. 그 이유는 Post엔티티에서 @Id 어노테이션을 붙인 id를 통해서 엔티티의 상태를 관리한다. 여기에서는 당연히 처음 객체를 만들었으므로 persist 상태가 된다.
// 2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post)).isTrue();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savedPost)).isTrue();
assertThat(post == savedPost);
2번째 테스트 케이스는 entityManager를 통해서 앞에서 저장한 post엔티티가 포함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코드다. 마지막 동일성을 비교하는 코드는 save()메서드의 반환된 결과와 파라미터에 넘어간 객체의 동일성을 보장한다.
// 3
Post post2 = new Post();
post2.setId(post.getId());
post2.setTitle("hibernate");
Post updatedPost = postRepository.save(post2);// merge
이번에는 id를 새롭게 생성하는 게 아니라, 기존의 post.getId()를 통해서 가지고 온다. 그렇기 때문에 save()를 호출하게 되면, persist()가 아닌 merge()를 호출하게 된다.
// 4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post2)).isFalse();
assertThat(entityManager.contains(updatedPost)).isTrue();
assertThat(post2 == updatedPost);
여기서 중요한 것이. 파라미터로 넘긴 post2객체는 entityManger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return 된 결과만을 entittyManager가 관리한다. 객체를 새로 post2로 만들었어도, save()메서드는 하이버네이트에서 id를 통해서 엔티티의 상태를 관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엔티티의 id가 이전에 만들어둔 값을 가지고 와서 넣어준다.
2. 정리
persist()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리턴한 객체 필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merge()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리턴된 결과를 통해서 다음 작업을 진행해야지, entityManager가 관리하는 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결론, 왠만하면 persist(), merge()를 매번 코딩할 때마다 구분하기 힘드니 무조건 반환받고 그 값을 통해서 코딩하자!
📚 Related Posts
- JPA - 값 타입(6)
- JPA - 프록시와 연관관계(5)
- JPA -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4)
- JPA - 연관관계 매핑(기초)(3)
- JPA - 엔티티 매핑(2)
- JPA - 영속성 관리(1)
- [JPA] 연관관계 매핑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 [JPA] 엔티티 설계시 주의사항들
- [JPA] Auditing 사용하기
- [JPA]@Transactional를 통한 Optimization
- [JPA] 엔티티 일부 데이터만 조회하는 Projection
- [JPA] save메서드로 살펴보는 persist와 merge 개념
- [JPA] 쿼리메서드(Lookup 전략)
- [JPA] QueryDSL 설정방법
- [JPA] null 처리
- [JPA] 연관관계 매핑 기초(다대일, 연관관계 주인)
- SpringBoot, JPA, H2를 이용한 간단한API 작성
- [JPA] proxy, fetch 전략
- [JPA] 도메인 클래스 컨버터란?
- [JPA] Custom Repository 만들기
- [JPA] Casecade 옵션